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reminiscences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reminiscences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20050819 : 뮤지컬 'Blood Brothers'..

reminiscences

20050819 : 뮤지컬 'Blood Brothers'..

  • 2009.12.14 01:05
  • SOME THING/to enjoy
728x90


런던에서 맞는 34번째 생일.. ^^

마침 LSE에서 석사과정을 하고 있는 이전 직장 후배와 같이 저녁을 하긴
했지만 생일이라는 얘기는 하지 않았다.. 괜히 조그만 선물이라도 사려고
할 거 같아 그런 부담은 주기 싫었다..

같이 연수를 온 동료는 오늘 밤 비행기로 돌아가기 땜에 오전에 잠시 같이
시간을 보내고 헤어졌다..

비도 내리고 딱히 어디를 갈 수도 없기에.. 역시나 뮤지컬을 한편 보기로
했다.. 작년에 국내에서 공연되기도 했던 'Blood Brothers'..

내용도, 음악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무작정 표를 예매하긴 했지만 전반
적으로 만족스러웠다.. ^^

저녁 약속시간까지는 시간이 남아서.. St. Martin-in-the-Field 교회에 들어
가서 저녁 공연 리허설을 보았다.. 오늘 저녁 공연은 비발디의 사계, 파헬
벨의 캐논 등.. 리허설을 보고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해진다..

저녁을 마치고 레스터 스퀘어와 토튼햄 코트로드 중간에 위치한 극장으로
찾아갔다.. (이제 웨스트 엔드의 극장들 위치는 거의 외웠다.. ㅎㅎ)




이미 두명이 아이를 키우고 있는 가난한 존스턴 부인.. 설상가상(?)으로
쌍둥이를 갖게 되었다.. 존스턴 부인이 가정부로 일하고 있던 부유한 리온
부인이 그녀에게 은밀한 제안을 하게 된다..

쌍둥이 중 하나를 자기에게 달라고.. 그러면 언제든지 아이를 볼 수 있게
해주겠다고..

하지만.. 아이를 바라보는 존스턴 부인의 눈길에 불안을 느낀 리온 부인은
약속과 달리 존스턴 부인을 해고하고 다시는 아이를 못볼 것이라고 한다..

'쌍둥이가 그들의 존재를 알게 되면 모두 죽게 된다'는 미신을 들먹이며..

그러나.. 몇년이 흘러 우연히 존스턴 부인의 아들 미키와 리온 부인의 아들
에디, 그러니까 쌍둥이 형제는 친한 친구가 된다..

리온 부인은 그들을 못만나게 하고 이사까지 가게 되지만.. 질긴 인연은
그들을 갈라놓지 못한다..

이제 성인이 된 미키와 에디.. 그들 사이에 린다가 끼어들게 되고.. 에디는
린다를 미키에게 양보하지만.. 형의 범행에 함께 했다가 감옥 신세를 지고
나온 미키는 약물에 빠져 허송세월을 하고..

삶이 버거운 린다는 에디에게서 위로를 받게 된다..

존스턴 부인이 에디를 뺏어갔다고 절망한 리온 부인은 미키를 찾아가
린다와 에디의 관계를 폭로하고.. 미키는 에디를 찾아가 울부짖는다..

미키를 말리기 위해 둘이 형제임을 알리는 존스턴 부인.. 그러나 에디는
미키의 총에, 미키는 경찰의 총에 쓰러지고.. 존스턴 부인은 '이건 사실이
아니라고 말해달라~'고 울부짖는다..

원작자인 'Willy Russell'이 리버풀의 노동자계급 출신으로.. 노동자와 여성
의 시각에서 작품을 많이 썼다고 한다..

이 작품도 사회계급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

생일날 저녁에 보기에는 별로 적합해 보이지 않는 스토리지만.. 모 워낙에
비극을 좋아하니까.. ^^

성인 연기자들이 아역을 연기하는 모습이 웃음을 자아내게도 하지만.. 무척
자연스럽기도 하다.. 그 어떤 뮤지컬보다도 배우들의 연기에서 열기와
에너지가 느껴졌다..

음악은 몇 안되는 곡들이 변주되고 있지만, 스토리 전개가 짜임새있어서
인지 지루함은 없다..

공연이 끝나고 CD를 살까 하다가 말았는데.. 다음날 피카딜리 서커스의
버진 메가스토어에서 'Barbara Dickson'('I Know Him So Well'을 불렀던..)이
존스턴 부인 역을 노래한 CD가 한장 보이길래 당장 집어들고 왔다..

부단히 극복해 보려 애쓰지만.. 대부분 운명에 무력한 인간들..

오전에 내리던 비가 그쳐 다시 청명해진 런던의 밤하늘을 올려다 보면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 가볍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절망적이지도 않다..

적어도 노력해 볼 기회는 아직 있기에..

728x90

댓글

reminiscencesWe don't make a photograph just with a camera..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Serendipity..

    Serendipity..

    2010.01.01
    evan and jaron 'The Distance' (Serendipity OST) 크리스마스며 연말연시가 되면 사람들은 ‘따뜻함’에 대한 압박에 시달리게 된다. 퇴근길 따뜻한 오뎅국물 한잔이라도 마셔야 될 것 같고, 술을 마셔도 시원~한 맥주보다는 얼큰한 국물과 함께 식도를 뜨겁게 타고 내려가는 소주가 더 땡기고, 무엇보다 1년 내내 아무렇지도 않던 옆구리를 차갑게 파고드는 냉기와 허전함을 막아줄 그 누군가를 (평소보다 좀 더 열심히) 찾게 된다. 그래서 영화도 따뜻한 사랑이야기를 선택하게 되는가 보다. 여러 사람들이 함께 낄낄거리면서 봐야 제 맛인 코미디(혼자서 낄낄거리다는 **넘 취급받기 딱이다)나, 이것저것 때려 부수고 이리저리 날라 다니는 블록버스터(집에서 DVD로 보다가는 윗집, 아랫집, 옆…
  • 20050820 : 뮤지컬 'Mamma Mia!'..

    20050820 : 뮤지컬 'Mamma Mia!'..

    2009.12.14
    Mamma Mia! OST 'Slipping Through My Fingers' LA에서 처음 본 이후로… 국내 공연 때 두번이나 갔었는데… 런던에서도 굳이 다시 볼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에 끝까지 미뤘던 '맘마 미아!'… 결국 런던에서의 마지막 뮤지컬로 보게 되었다… 역시나 Half-price 티켓은 눈을 씻고 찾아도 찾을 수 없는 공연(사실, 공연 시작 전 극장 앞은 리턴 티켓을 사려는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곤 한다…)이기에… Full-price로 보게 되었다… 오페라의 유령, 라이언 킹에 이어 세번째인가… 풀 프라이스를 지불한 건… ^^ (극장 외부 사진은 런던에 도착한 첫날에 반가워서 D70으로 찍은 사진… ^^) (앞자리의 한 부부가 너무 보기 좋아서 몰래 한컷… 나이도 …
  • 20050810 : 뮤지컬 'The Lion King'..

    20050810 : 뮤지컬 'The Lion King'..

    2009.12.14
    The Lion King The Musical 'They Live In You' 시험 보는 날까지 열심히 공부만 하겠다고 다짐한지 겨우 하루만에 다시 뮤지컬을 보러 갔습니다… ㅎㅎ 다짐하는 글 밑에 변명처럼 리플을 달았던 것처럼… 화요일에 제출한 두번째 과제의 점수가 생각보다 잘 나와서 시험에 약간 여유가 생겼 다는 좋은 핑계거리가 생겼기 때문이기도 하고… 오늘 제출한 세번째 과제를 하느라 어제 너무 늦게 잠들었더니… 오늘 컨디션이 하루종일 별로 좋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했습니다… 오후 수업 끝나고 부지런히 레스터 스퀘어에 가서 티켓을 사들고 다시 도서관으로 돌아오는데… 언제 머리가 무거웠냐는 듯 가뿐해지는 것이… 역시 못말립니다… ㅋㄷ 극장이 학교에서 아주 가까이 있기 때문에 도서관에서 공…
  • 20050803 : 뮤지컬 'The Far Pavilions'..

    20050803 : 뮤지컬 'The Far Pavilions'..

    2009.12.14
    오랜 식민통치 때문인지 영국와 인도는 여러모로 연결되어 있는 것 같다… 런던에 유난히 인도사람들이 많이 보이는 것도 그런 이유가 아닐까라고 한다면 너무 무식한 말이려나…? ^^ 월욜, 화욜 연달아 공연을 봤기 땜에 오늘은 쉴까도 생각을 했지만… 4시에 수업이 끝나고 나는 다시 레스터 스퀘어로 가고 있었다… ㅎㅎ 시간이 늦어서인지 티켓이 많지 않다… 무엇을 볼까 잠시 고민하다가 'The Far Pavilions'를 골랐다… 영국 식민통치하의 19세기 인도에서 벌어지는 러브스토리… 영국인 부모를 둔 순수한 영국인이지만 전쟁통에 부모를 잃고 인도여성의 손에 자라나 자신이 인도인이라고 믿어온 애쉬… 인도의 공주(영국과의 관계는 잘 이해못함… -.-)인 안줄리… 어려서 함께 자란 안줄리와 애쉬는…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reminiscences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reminiscences

  • reminiscences의 첫 페이지로 이동

메뉴

  • 공지사항
  • 안부 남기기

검색

카테고리

  • ALL POSTS (1286)
    • SOME WHERE (757)
      • in korea (131)
      • in china (16)
      • in japan (244)
      • in south-east asia (9)
      • in austria (40)
      • in croatia (34)
      • in czech (42)
      • in england (47)
      • in france (28)
      • in iceland (54)
      • in italia (14)
      • in norway (18)
      • in portugal (2)
      • in swiss (19)
      • in canada (45)
      • in usa (14)
    • SOME DAY (277)
      • in 2025 (1)
      • in 2024 (3)
      • in 2023 (5)
      • in 2022 (7)
      • in 2021 (4)
      • in 2020 (9)
      • in 2019 (5)
      • in 2018 (7)
      • in 2017 (17)
      • in 2016 (18)
      • in 2015 (8)
      • in 2014 (18)
      • in 2013 (8)
      • in 2012 (27)
      • in 2011 (26)
      • in 2010 (50)
      • in 2009 (64)
    • SOME THING (144)
      • to enjoy (75)
      • to think (69)
    • ETC (108)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160x600

정보

JINHOON의 reminiscences

reminiscences

JINHOON
  • 1
reminiscences
JINHOON

나의 외부 링크

  • My Shutterstock Portfolio
  • My Adobe Stock Portfolio
  • My 500px Portfolio
  • My CrowdPic Portfolio
  • My Raysoda Portfolio (closed)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JINHOON.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